HR전문가들과 협상 전문가들이 공유하는 성공적인 연봉협상 전략을 소개합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체계적인 준비과정을 거친 사람들의 연봉협상 성공률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3배 높다고 합니다. 협상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가장 중요한 것! 연봉협상은 면담 당일이 아닌 2주 전부터 시작됩니다. 이런 준비 없이 협상테이블에 앉아서 대화를 해보면, 아무리 설득력 있게 얘기한다고 해도 큰 소득이 없다는 걸 아마 많은 사람들이 경험으로 알고 있을 겁니다. 실제로 성공적인 연봉협상의 80%는 사전 준비에서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자, 그럼 2주 전부터 무엇을 해야 할까요?
첫째, 자신의 '성과 포트폴리오'를 만드세요.
막연히 "열심히 했어요"가 아니라, 구체적인 숫자와 사례가 필요합니다. "제가 처리한 고객 응대 만족도가 전년 대비 23% 상승했고, 신규 프로젝트에서 절감한 비용이 약 2천만 원 정도 됩니다." 이런 식으로요.
둘째, 업계 평균 연봉을 조사하세요.
잡포털의 연봉 정보만으로는 부족해요. 동종업계 지인들과 티타임을 가져보세요. "요즘 업계 동향이 어때?" 정도의 가벼운 대화로도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답니다.
셋째, 상사의 고민거리를 파악하세요.
요즘 우리 팀에서 가장 시급한 문제가 뭘까요? 그리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요? 이런 준비가 되어있다면 연봉협상은 이미 절반은 성공한 거나 다름없어요. 결국이 회사의 문제와 상사의 고민을 내가 얼마나 해결해 줄 수 있는지 집중해 보면 좋을 거 같습니다.
이제 실제 면담 당일 날에 절대 하지 말아야 할 말 세 가지를 공개합니다.
"다른 회사에서 이만큼 준다고 하는데요." (뭔가 협박으로 들릴 수 있습니다.)
"생활이 너무 힘들어서요." (이 상황에 개인사는 금물입니다.)
"제가 얼마나 고생했는지 아시잖아요." (감정에 호소하지 마세요.)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대신 이렇게 말해보세요. "제가 지난 1년간 달성한 성과를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특히 A프로젝트에서는 '구체적 성과'를 이뤘고, 앞으로 B업무에서도 '구체적 계획'을 통해 회사에 기여하고 싶습니다." 여기서 언급한 '구체적 성과'와 '구체적 계획'은 여러분들이 처음에 언급한 성과 포트폴리오를 만드실 때 미리 준비하고 정리해야겠죠.
그리고 타이밍도 중요해요. 월요일 아침과 금요일 오후는 피하세요. 가장 좋은 시간은 화수목 오후 2-4시 사이입니다. 상사의 에너지가 가장 안정적인 시간이거든요.
마지막으로 '숫자의 법칙'을 잘 활용해 보세요. 먼저 희망 인상률을 정하고, 그보다 10% 높게 이야기하세요. 협상의 여지를 만들어두는 거예요. "현재보다 15% 인상을 희망합니다"라고 했을 때 10% 인상을 받게 된다면, 이는 성공적인 협상으로 볼 수 있답니다. 여러분이 원하는 조건과 임금으로 사인을 할 수 있을 겁니다.
성공적인 연봉협상 전략과 팁은 여기까지입니다. 도움 되었길 바라고요. 성공적인 연봉 협상이 이루어 지길 바랍니다.
'직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에서 인정받는 커뮤니케이션 기술 - 상사와 동료에게 신뢰받는 대화법 (1) | 2025.05.23 |
---|